Economics/Finance

[Finance] Market-Value Ratio Analysis | 시장가치비율분석

lww7438 2025. 2. 2. 16:28

Market-Value Ratio Analysis

 

시장가치비율분석

 

 

 

- 재무비율분석의 일종으로, 기업의 영업성과가 이익을 실현시키는 과정에서 평가된 주식의 가치를 판단하는 분석방법이다.

- 해당 기업의 주가를 주당이익이나 장부가치 등의 주식과 관련된 비율로 산출하여 분석한다.

 

- 시장가치비율분석을 위해 산출하는 지표들은 아래와 같다:

  • EPS (주당순이익)
  • PER (주가수익비율)
  • PBR (주가순자산비율)
  • PCR (주가현금흐름비율)
  • PSR (주가매출액비율)
  • 배당수익률

 


EPS (Earning Per Share; 주당순이익)

 

\(EPS = {당기순이익 \over 발행주식수}\)

 

- 기업이 1주당 얼마의 이익을 창출하느냐를 산출한 지표이다.

- 일반적으로, EPS가 크면 주가가 높다.

 


PER (주가수익비율)

 

\(PER = {주가 \over 주당순이익} = {주가 \over EPS}\)

 

- 주가가 몇 배의 EPS로 구성되는가를 산출한 지표이다.

- 당해연도 이익이 없는 경우(음의 경우)에는 PER을 산출할 수 없으며,
  이익이 너무 높거나 낮으면 PER을 통한 올바른 분석이 불가하다.

 

- 고 PER은 아래와 같이 해석될 수 있다:

  • EPS는 평균적이나, 주가가 높은 경우 (주가 고평가, 성장 가능성이 있음)
  • 주가는 평균적이나, EPS가 낮은 경우 (기업의 수익성이 좋지 못함)

 


PBR (Price Book-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 시장가치 대 장부가치비율)

 

\(PBR = {주가 \over 주당순자산} = {주당시장가치 \over 주당장부가치}\)

 

- 1주당 순자산이 주가를 몇 배 창출했는가를 산출한 지표이다.

- 일반적으로, 고 PER은 해당 기업에 높은 성장가능성(주가 고평가)이 있음을 의미한다.

 


PCR (Price Cash Flow Ratio; 주가현금흐름비율)

 

\(PCR = {주가 \over 주당현금흐름}\)

 

- 일반적으로, 저 PCR은 해당 주식이 저평가되어있음을 의미하며,
  고 PER이나, 저 PCR인 경우에도 해당 주식이 저평가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단, 저 PER이며 고 PCR인 경우는 주가가 낮다할 수 없다.)

 


PSR (Price Sales Ratio; 주가매출액비율)

 

\(PSR = {주가 \over 주당매출액}\)

 

- 순이익으로 산출하는 PER과 대조적으로,
  PSR은 매출액(기업의 순수한 영업활동의 결과)을 기준으로 산출하므로 영업성과를 객관적으로 볼 수 있다.

- 이익이 나지 않는 경우, PER을 산출할 수 없지만,
  매출액이 나지 않는 경우는 거의 없으므로, PSR은 항시 산출이 가능하다.

 


Price-Dividend Yield (배당수익률)

 

\(배당수익률 = {주당 배당금 \over 주가} (\%)\)

 

- 일반적으로, 이익이 크나 배당수익률이 작은 기업은 성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
  (성장하는 기업은 당기순이익 중, 배당금은 적게 하고 내년도 재투자를 위해 이익금을 회사 내 유보하기 때문이다.)

 

※ \(배당률 = {주당 배당금 \over 주당 액면가}\)

- 현행 상법에는 주식 액면가 기준으로 얼마의 배당금을 지급하는 가에 대해 산출하게 되어 있어,
  배당률은 우리나라에만 있는 지표이며, 현재 주가로 산출하는 배당수익률과 엄연히 상이한 개념이다.

 


Reference: 한국금융투자협회, 증권투자권유자문인력 1, 박영사, 202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