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 Theory
다우 이론
- 1800년대 후반 Chales Henry Dow가 고안한 이론으로,
다우는 생전에 이론을 완성하지 못하였고 후계자들이 이론을 완성시켰다.
- 주가 움직임이 주기적인 추세를 형성한다는 가설을 정립하였고,
이것이 1929년 미국 증권시장 붕괴를 예언하여 유명해졌으며 추세분석의 주요 이론 중 하나로 꼽힌다.
- 다우 이론 하에서, 추세는 아래와 같이 구분된다:

- 단기추세
- 매일매일의 주가 움직임 - 중기추세
- 3주에서 수개월간 지속되는 흐름 - 장기추세
- 1~10년에 걸친 장기적 흐름
General Principles of Dow Theory (다우이론의 일반적 원칙)
- 모든 시세는 대내외적 복합적 요인들로 결정된다.
- 평균 주가 개념은 전체 주가 흐름을 "정확히" 반영한다.
- 주가는 장기/중기/일일 파동과 같은 파동법칙에 의해 형성된다.
- 장기파동은 평균 주가가 직전 형성된 최고가를 돌파하여 상승할 때 만들어진다.
- 중기파동은 최저가를 하향돌파하기 전에 끝난다.
- 강세국면에서는 경기 및 경제여건이 호전되고, 전문가들은 저가주를 매수하며,
중간단계부터 말기까지 일반투자자를 중심으로 과열된 투기가 발생한다. - 약세국면에서는 경기 및 경제여건이 악화되고, 전문가들은 매도를 시작하며,
말기에는 소형주 중심의 투매현상이 나타난다. - 특정 종목의 평균 주가 변동은 다른 종류의 주가 변동을 유발한다.
- 보합세에서 수주 동안 형성된 주가가 추세선 이탈과 동시에 상향돌파한다면, 그것은 상승신호이다.
- 강세국면에서 거래량의 지속적 증가, 약세국면에서 거래량이 감소하면
시장 내부에 상승저력이 축적되는 과정으로 간주한다. - 추세가 전환될 때까지 강세나 약세추세는 지속된다.
장기추세의 진행과정
- 장기추세의 전체 진행과정은 강세장/약세장에 따라 아래와 같이 구분된다:

- 강세 1국면 (매집국면)
- 전체 경제ᐧ시장여건ᐧ기업환경이 회복되지 못해 전망이 어둡다는 분석에 실망한 일반투자자들이 매도를 희망한다.
- 반면, 전문투자자들은 시장 여건이 호전될 것을 감지하여, 일반투자자들의 실망매물을 매수하려는 움직임을 보여
거래량은 점차 증가하게 된다.
- 강세 2국면 (상승국면)
- 전체 경제여건ᐧ기업 영업이익이 호전되어 일반투자자들의 관심이 고조되어 주가 및 거래량이 상승한다.
- 기술적 분석에 따라, 본 국면에서 가장 많은 투자수익을 올릴 수 있다.
- 강세 3국면 (과열국면)
- 전체 경제여건ᐧ기업 영업이익 등이 호조를 보이고, 시장은 과열된 기미를 보인다.
- 투자 무경험자들이 적극 매수에 나서다 손해를 본다.
- 약세 1국면 (분산국면)
- 시장의 과열을 감지한 전문투자자들이 익절을 통해 시장을 빠져나간다.
- 본 국면에서는 주가가 조금만 하락해도 거래량이 증가하는 거래양상을 보인다.
- 약세 2국면 (공포국면)
- 전체 경제여건ᐧ기업 영업이익이 악화됨에 따라, 일반투자자들은 주식을 매도하고자 하며 매수세력이 크게 위축된다.
- 주가는 수직으로 하락하며, 거래량도 급감하는 양상을 보인다.
- 약세 3국면 (침체국면)
- 공포국면에서 주식을 처분하지 못한 일반투자자들의 실망매물이 출회되어 투매양상이 나타난다.
- 주가가 계속 하락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가의 낙폭은 작아진다.
- Joseph Ensign Granville 은 일반투자자와 전문투자자는 강세장/약세장에서 서로 반대되는 생각을 한다고 보았는데,
각 국면별 투자자들의 생각과 이상적인 투자방법은 아래와 같다:
시장국면 | 강세국면 | 약세국면 | ||||
투자자 유형 | 강세 1국면 (매집국면) |
강세 2국면 (상승국면) |
강세 3국면 (과열국면) |
약세 1국면 (분산국면) |
약세 2국면 (공포국면) |
약세 3국면 (침체국면) |
일반투자자 | 공포 | 공포 | 매수확신 | 매수확신 | 매수확신 | 공포 |
전문투자자 | 매수확신 | 매수확신 | 공포 | 공포 | 공포 | 매수확신 |
이상적 투자전략 | - | 점차 매도 | 매도 | - | 점차 매수 | 매수 |
다우이론의 한계
- 주추세와 중기추세를 명확히 구분하기 어렵다.
- 추세전환을 제때 확인하기 어려워 실제 투자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
- 추세를 예측하는데 적절하다 하여도, 그것이 분산투자 여부와 방법을 알려주는 단서가 되지는 못한다.
- 증권의 리스크에 대해서는 아무런 정보를 제공해주지 못한다.
Reference: 한국금융투자협회, 증권투자권유자문인력 1, 박영사, 2024년.
Dow Theory
다우 이론
- 1800년대 후반 Chales Henry Dow가 고안한 이론으로,
다우는 생전에 이론을 완성하지 못하였고 후계자들이 이론을 완성시켰다.
- 주가 움직임이 주기적인 추세를 형성한다는 가설을 정립하였고,
이것이 1929년 미국 증권시장 붕괴를 예언하여 유명해졌으며 추세분석의 주요 이론 중 하나로 꼽힌다.
- 다우 이론 하에서, 추세는 아래와 같이 구분된다:

- 단기추세
- 매일매일의 주가 움직임 - 중기추세
- 3주에서 수개월간 지속되는 흐름 - 장기추세
- 1~10년에 걸친 장기적 흐름
General Principles of Dow Theory (다우이론의 일반적 원칙)
- 모든 시세는 대내외적 복합적 요인들로 결정된다.
- 평균 주가 개념은 전체 주가 흐름을 "정확히" 반영한다.
- 주가는 장기/중기/일일 파동과 같은 파동법칙에 의해 형성된다.
- 장기파동은 평균 주가가 직전 형성된 최고가를 돌파하여 상승할 때 만들어진다.
- 중기파동은 최저가를 하향돌파하기 전에 끝난다.
- 강세국면에서는 경기 및 경제여건이 호전되고, 전문가들은 저가주를 매수하며,
중간단계부터 말기까지 일반투자자를 중심으로 과열된 투기가 발생한다. - 약세국면에서는 경기 및 경제여건이 악화되고, 전문가들은 매도를 시작하며,
말기에는 소형주 중심의 투매현상이 나타난다. - 특정 종목의 평균 주가 변동은 다른 종류의 주가 변동을 유발한다.
- 보합세에서 수주 동안 형성된 주가가 추세선 이탈과 동시에 상향돌파한다면, 그것은 상승신호이다.
- 강세국면에서 거래량의 지속적 증가, 약세국면에서 거래량이 감소하면
시장 내부에 상승저력이 축적되는 과정으로 간주한다. - 추세가 전환될 때까지 강세나 약세추세는 지속된다.
장기추세의 진행과정
- 장기추세의 전체 진행과정은 강세장/약세장에 따라 아래와 같이 구분된다:

- 강세 1국면 (매집국면)
- 전체 경제ᐧ시장여건ᐧ기업환경이 회복되지 못해 전망이 어둡다는 분석에 실망한 일반투자자들이 매도를 희망한다.
- 반면, 전문투자자들은 시장 여건이 호전될 것을 감지하여, 일반투자자들의 실망매물을 매수하려는 움직임을 보여
거래량은 점차 증가하게 된다.
- 강세 2국면 (상승국면)
- 전체 경제여건ᐧ기업 영업이익이 호전되어 일반투자자들의 관심이 고조되어 주가 및 거래량이 상승한다.
- 기술적 분석에 따라, 본 국면에서 가장 많은 투자수익을 올릴 수 있다.
- 강세 3국면 (과열국면)
- 전체 경제여건ᐧ기업 영업이익 등이 호조를 보이고, 시장은 과열된 기미를 보인다.
- 투자 무경험자들이 적극 매수에 나서다 손해를 본다.
- 약세 1국면 (분산국면)
- 시장의 과열을 감지한 전문투자자들이 익절을 통해 시장을 빠져나간다.
- 본 국면에서는 주가가 조금만 하락해도 거래량이 증가하는 거래양상을 보인다.
- 약세 2국면 (공포국면)
- 전체 경제여건ᐧ기업 영업이익이 악화됨에 따라, 일반투자자들은 주식을 매도하고자 하며 매수세력이 크게 위축된다.
- 주가는 수직으로 하락하며, 거래량도 급감하는 양상을 보인다.
- 약세 3국면 (침체국면)
- 공포국면에서 주식을 처분하지 못한 일반투자자들의 실망매물이 출회되어 투매양상이 나타난다.
- 주가가 계속 하락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가의 낙폭은 작아진다.
- Joseph Ensign Granville 은 일반투자자와 전문투자자는 강세장/약세장에서 서로 반대되는 생각을 한다고 보았는데,
각 국면별 투자자들의 생각과 이상적인 투자방법은 아래와 같다:
시장국면 | 강세국면 | 약세국면 | ||||
투자자 유형 | 강세 1국면 (매집국면) |
강세 2국면 (상승국면) |
강세 3국면 (과열국면) |
약세 1국면 (분산국면) |
약세 2국면 (공포국면) |
약세 3국면 (침체국면) |
일반투자자 | 공포 | 공포 | 매수확신 | 매수확신 | 매수확신 | 공포 |
전문투자자 | 매수확신 | 매수확신 | 공포 | 공포 | 공포 | 매수확신 |
이상적 투자전략 | - | 점차 매도 | 매도 | - | 점차 매수 | 매수 |
다우이론의 한계
- 주추세와 중기추세를 명확히 구분하기 어렵다.
- 추세전환을 제때 확인하기 어려워 실제 투자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
- 추세를 예측하는데 적절하다 하여도, 그것이 분산투자 여부와 방법을 알려주는 단서가 되지는 못한다.
- 증권의 리스크에 대해서는 아무런 정보를 제공해주지 못한다.
Reference: 한국금융투자협회, 증권투자권유자문인력 1, 박영사, 202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