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ics' 카테고리의 글 목록 — Archive

Economics

Economics/Finance

[Finance] Sakeda Method | 사케다 전법

Sakeda Method 사케다 전법   - 일본 도쿠가와 시대 사케다 항구를 주 무대로 삼던 혼마의 주식거래 이론을 구체화 한 매매법이다.- 사케다 전법은 아래 패턴들을 통해 주가 추세 및 강세/약세를 설명한다:삼공삼병삼산삼천삼법 삼공 패턴 - 주가가 상당기간 상승하는 데 있어 인기가 과열되어 3개의 갭을 연속으로 만드는 경우를 의미한다.    * 여기서, '공'은 미국식 차트에서의 갭과 같은 의미이다.- 단선 3공, 복선 3공이 있다. 삼병 패턴 - 삼병 패턴은 또한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적삼병 패턴- 상승 시작 신호로, 오랫동안 침체국면에서 횡보하던 주가가 단기간에 양선 3개가 연이어 형성되는 주가패턴이다.- 주가가 바닥권에서부터 출현해야 적삼병 패턴에 해당된다. 흑삼병 패턴- 적삼병과 상반되는 ..

Economics/Finance

[Finance] Elliott Wave Principle | 엘리엇 파동 이론

Elliott Wave Principle 엘리엇 파동 이론   - Ralph Nelson Elliott 이 1938년 그의 저서 《The Wave Principle》에서 발표한,  장기적으로 주가는 일정 법칙하에 반복적으로 움직인다고 주장하는 이론이다.- 엘리엇 파동은 5개의 상승국면 파동, 3개의 하락국면 파동으로 구성된다. Elliott Wave (엘리엇 파동)  - 한 번의 가격 움직임은 8번*의 상하파동으로 구성된다.  * Wave ①~⑤, Wave Ⓐ~Ⓒ- 각각의 Wave(파동)는 Impulse Wave(충격파동)*와 Corrective Wave(조정파동)** 으로 구성되는데,  충격파동은 전체 시장 움직임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는 파동을 의미하며,  조정파동은 추세를 거스르는 방향으로 나타나는..

Economics/Finance

[Finance] Dow Theory | 다우 이론

Dow Theory 다우 이론   - 1800년대 후반 Chales Henry Dow가 고안한 이론으로,  다우는 생전에 이론을 완성하지 못하였고 후계자들이 이론을 완성시켰다.- 주가 움직임이 주기적인 추세를 형성한다는 가설을 정립하였고,  이것이 1929년 미국 증권시장 붕괴를 예언하여 유명해졌으며 추세분석의 주요 이론 중 하나로 꼽힌다. - 다우 이론 하에서, 추세는 아래와 같이 구분된다:단기추세- 매일매일의 주가 움직임중기추세- 3주에서 수개월간 지속되는 흐름장기추세- 1~10년에 걸친 장기적 흐름 General Principles of Dow Theory (다우이론의 일반적 원칙) 모든 시세는 대내외적 복합적 요인들로 결정된다.평균 주가 개념은 전체 주가 흐름을 "정확히" 반영한다.주가는 장기/중..

Economics/Finance

[Finance] Technical Analysis | 기술적 분석

Technical Analysis 기술적 분석   - 주가 및 거래량의 과거흐름을 분석하여 주가를 예측하는 분석방법이다.- 과거의 주가, 거래활동 등에서 일정한 패턴 및 추세를 찾아내 주가 변동을 예측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기술적 분석에서의 기본 가정 증권의 시장가치는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만 결정된다.시장의 사소한 변동을 고려하지 않는다면,주가는 지속되는 추세에 따라 상당기간 동안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추세의 변화는 수요와 공급의 변동에 의해 일어난다.수요와 공급의 변동은 그 발생이유에 상관없이 시장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표에 의해 추적될 수 있으며,도표에 나타나는 주가 모형은 스스로 반복하는 경향이 있다. 기술적 분석의 장단점 Pros (장점)주가에는 계량화하기 어려운 심리적 요인도 영향을 미치기에 기..

Economics/Finance

[Finance] Market-Value Ratio Analysis | 시장가치비율분석

Market-Value Ratio Analysis 시장가치비율분석   - 재무비율분석의 일종으로, 기업의 영업성과가 이익을 실현시키는 과정에서 평가된 주식의 가치를 판단하는 분석방법이다.- 해당 기업의 주가를 주당이익이나 장부가치 등의 주식과 관련된 비율로 산출하여 분석한다. - 시장가치비율분석을 위해 산출하는 지표들은 아래와 같다:EPS (주당순이익)PER (주가수익비율)PBR (주가순자산비율)PCR (주가현금흐름비율)PSR (주가매출액비율)배당수익률 EPS (Earning Per Share; 주당순이익) \(EPS = {당기순이익 \over 발행주식수}\) - 기업이 1주당 얼마의 이익을 창출하느냐를 산출한 지표이다.- 일반적으로, EPS가 크면 주가가 높다. PER (주가수익비율) \(PER = {..

Economics/Finance

[Finance] Financial Ratio Analysis | 재무비율분석

Financial Ratio Analysis 재무비율분석   - 재무제표들을 구성하고 있는 각종 항목들 간 관계를 이용하여  해당 기업의 우량/부실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방법이다. - 기업의 건전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요인들을 비교한다:수익성- ROI (총자본이익률)- ROA (총자산이익률)- ROE- 매출액순이익률- 매출액영업이익률 안정성- 유동비율- 부채비율- 고정(비유동)비율- 이자보상비율 활동성- 총자산회전율- 고정자산회전율- 재고자산회전율- 유동자산회전율- 매출채권회전율 성장성- 매출액증가율- 총자산증가율- 영업이익증가율- 자기자본성장률- 순영업이익성장률- 배당비율성장률 수익성: ROI (Return On Investment; 총자본이익률) \(ROI = {당기순이익 \over 투자..

Economics/Finance

[Finance] Quantitative Analysis | 양적분석 (재무제표 분석)

Quantitative Analysis(Financial statements Analysis) 양적분석(재무제표 분석)   - 기업의 재무제표를 사용하여 계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 Financial Statements(재무제표)의 구성요소는 아래와 같다:Balance Sheet (재무상태표)Income Statement (손익계산서)Statement of Change in Equity (자본변동표)Statement of Cash Flow (현금흐름표)Surplus Appropriation Statement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 결손금 처분계산서) Balance Sheet (재무상태표)- 일정 시점에서 기업이 보유한 재산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다.- 일반적으로, 재무제표는 회계기간을 1년으..

Economics/Finance

[Finance] Economy Analysis | 경제분석

Economy Analysis 경제분석   - 경제분석 단계에서는 사회의 각 경제현상이 주가와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현재 시점이 투자에 적절한 시점인지를 판단한다. - 주가와 연동된 기본적인 경제적 변수는 아래와 같다.경기통화량금리물가환율원자재 가격외국인 투자동향 경기와 주가 - 경기변동과 주가의 일반적인 관계는 아래와 같다.단기적으로 주가는 경기를 6개월 가량 선행한다.장기적으로 주가와 경기는 비례한다. 통화량과 주가 - 통화량의 변동과 주가의 일반적인 관계는 아래와 같다.통화량 증가- 늘어난 통화량이 기업에 흡수되면, 설비투자가 확대되어 기업의 수익성이 증가되고, 해당 기업의 주가가 상승한다.- 늘어난 통화량이 민간에 흡수되면, 일반투자자들은 주식매입을 원활히 진행하여 주가가 상승..

lww7438
'Economics'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