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keda Method
사케다 전법
- 일본 도쿠가와 시대 사케다 항구를 주 무대로 삼던 혼마의 주식거래 이론을 구체화 한 매매법이다.
- 사케다 전법은 아래 패턴들을 통해 주가 추세 및 강세/약세를 설명한다:
- 삼공
- 삼병
- 삼산
- 삼천
- 삼법
삼공 패턴
- 주가가 상당기간 상승하는 데 있어 인기가 과열되어 3개의 갭을 연속으로 만드는 경우를 의미한다.
* 여기서, '공'은 미국식 차트에서의 갭과 같은 의미이다.
- 단선 3공, 복선 3공이 있다.
삼병 패턴
- 삼병 패턴은 또한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 적삼병 패턴
- 상승 시작 신호로, 오랫동안 침체국면에서 횡보하던 주가가 단기간에 양선 3개가 연이어 형성되는 주가패턴이다.
- 주가가 바닥권에서부터 출현해야 적삼병 패턴에 해당된다.
- 흑삼병 패턴
- 적삼병과 상반되는 패턴으로, 고가권의 주가에서 음선 3개가 잇달아 형성되는 주가패턴이다.
- 주가가 폭락할 가능성이 크다.
- 이중천장형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두 번째 천장 부근에서 나타날 경우 매우 유효한 패턴이다.
삼산 패턴
- 주가가 크게 상승한 후, 매수세력이 계속되는 가운데 매물이 출회되어 더 이상 주가가 상승하지 못하는 패턴이다.
- 기간은 보통 1개월 정도 소요되며, 삼산 패턴은 1년에 한 번 정도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삼산 패턴이 형성된 이후에는 주가가 하락하는 것이 지배적이다.
삼천 패턴
- 삼산 패턴과 반대되는 패턴이다.
- 대세바닥을 형성하는 전환모형이다.
- 삼중바닥형과 비슷한 운동을 한다.
- 주가가 장기간 크게 하락하였다가 일정 시점 안에서 기준선을 두고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모양을 형성한다.
삼법 패턴
- 주식을 매매하는 과정에서 휴식을 강조한다.
- 상승과 하락시에 각각 나타나는 휴식기간은 매매시점을 포착하기 위해 관망하는 기간을 의미한다.
Reference: 한국금융투자협회, 증권투자권유자문인력 1, 박영사, 2024년.
Sakeda Method
사케다 전법
- 일본 도쿠가와 시대 사케다 항구를 주 무대로 삼던 혼마의 주식거래 이론을 구체화 한 매매법이다.
- 사케다 전법은 아래 패턴들을 통해 주가 추세 및 강세/약세를 설명한다:
- 삼공
- 삼병
- 삼산
- 삼천
- 삼법
삼공 패턴
- 주가가 상당기간 상승하는 데 있어 인기가 과열되어 3개의 갭을 연속으로 만드는 경우를 의미한다.
* 여기서, '공'은 미국식 차트에서의 갭과 같은 의미이다.
- 단선 3공, 복선 3공이 있다.
삼병 패턴
- 삼병 패턴은 또한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 적삼병 패턴
- 상승 시작 신호로, 오랫동안 침체국면에서 횡보하던 주가가 단기간에 양선 3개가 연이어 형성되는 주가패턴이다.
- 주가가 바닥권에서부터 출현해야 적삼병 패턴에 해당된다.
- 흑삼병 패턴
- 적삼병과 상반되는 패턴으로, 고가권의 주가에서 음선 3개가 잇달아 형성되는 주가패턴이다.
- 주가가 폭락할 가능성이 크다.
- 이중천장형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두 번째 천장 부근에서 나타날 경우 매우 유효한 패턴이다.
삼산 패턴
- 주가가 크게 상승한 후, 매수세력이 계속되는 가운데 매물이 출회되어 더 이상 주가가 상승하지 못하는 패턴이다.
- 기간은 보통 1개월 정도 소요되며, 삼산 패턴은 1년에 한 번 정도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삼산 패턴이 형성된 이후에는 주가가 하락하는 것이 지배적이다.
삼천 패턴
- 삼산 패턴과 반대되는 패턴이다.
- 대세바닥을 형성하는 전환모형이다.
- 삼중바닥형과 비슷한 운동을 한다.
- 주가가 장기간 크게 하락하였다가 일정 시점 안에서 기준선을 두고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모양을 형성한다.
삼법 패턴
- 주식을 매매하는 과정에서 휴식을 강조한다.
- 상승과 하락시에 각각 나타나는 휴식기간은 매매시점을 포착하기 위해 관망하는 기간을 의미한다.
Reference: 한국금융투자협회, 증권투자권유자문인력 1, 박영사, 202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