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et Administration
인터넷 운영
- 인터넷 기술을 관리하는 국제 기관들의 계층 구조는 아래와 같다.
1. ISOC (Internet Society)
- Internet의 최상위 총괄 기관이며, Internet에 대한 모든 것을 총괄한다.
- Internet 관련 연구 및 학회 활동을 진행한다.
2. IAB (Internet Architecture Board)
- ISCO의 Technical Advisor로서, 기술적 관리를 담당한다.
3. IRTF (Internet Research Task Force)
- 미래 지향적 internet 기술 연구를 진행한다.
- internet Protocol, Application, Architecture. Technology와 같은 주제들을 다룬다.
- www.irtf.org에서 과거, 현재 연구 분야를 열람할 수 있다.
4. 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 현재 이용할 internet 기술 연구를 진행한다.
- RFC를 확인할 수 있다.
- Application, Protocol, Routing, Network Management next Generation, Security와 같은 주제들을 다룬다.
- Internet 연구의 최신 동향들도 알 수 있다.
5. IANA (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 IP(internet Protocol)의 전 세계적 주소에 대해 최종적으로 조정 및 관리하는 기관이다.
- Domain Name, IP주소 분배, Port 번호 할당과 같은 중요한 번호들을 관리한다.
1) Domain Names : 도메인 이름을 할당한다. 여기서 도메인은 Application Layer(Layer-5)에 해당되는 개념이다.
2) Number Resources : IP 주소를 할당한다. 여기서 IP는 Network Layer(Layer-3)
3) Protocol Assignments : Port 번호를 할당하며, IP주소보다 깊은 개념을 다루며 상세한 작업을 지시한다. 여기서 Port 번호는 Transport Layer(Layer-4)에 해당되는 개념이다.
+ KISA (Korea Internet Security Agency)
- 한국인터넷진흥원이다.
- Internet에 관련된 여러 정보를 공유하고, Internet을 활성화하기 위한 사업도 추진한다.
- 2~3개 기관으로 나뉘어 있다가, 통합되었다.
- 인터넷 보안에 관련된 작업도 수행하고 있어, 보안 문제를 겪을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다.
- KISA의 인터넷 주소 센터에서는 우리나라의 Domain Name과 IP주소를 관리한다.
(이와 달리, Port 번호는 국제기관인 IANA에서만 관장하며, Port 번호는 국가 차원에서 관리할 수 없다.)
Domain Name (도메인 이름)
※ TLD (Top Level Domain)
1. Generic Domain : 기능으로 구분짓는 도메인이다.
ex) com, net
2. National Domain : 국가를 구분짓는 도메인으로, ISO에 의해 2~3글자로 규정된다.
ex) ac, kr, zw
- 우리나라의 도메인 이름은 KISA(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관장하며, 도메인 체계는 아래 그림과 같다.
- 국가코드 최상위 도메인은 ISO에서 제정한다.
- Generic Top Level Domain(일반 최상위 도메인) 는 IANA에서 제정한다.
Reference: TCP/IP Protocol Suite 4th Edition
(Behrouz A. Forouzan 저, McGraw-Hill, 2010)
Reference: Data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5th Edition
(Behrouz A. Forouzan 저, McGraw-Hill,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