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main Name System (DNS)
도메인 네임 시스템
- 도메인 네임 서버는 DNS(Domain Name System)이 구축된 서버이며,
L5의 Names에 Mapping되는 IP 주솟값을 리턴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서버이다.
- 웹 서비스 사용자가 특정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 주소창에 URL을 이름 방식으로 입력하면,
해당 시스템에 연결된 네임 서버에서는 Name : IP주소 테이블을 확인하여 알맞는 IP주솟값으로 변환한다.
- 접속하고자 하는 사이트의 포트 번호는 Well-Known Service*에 포함되기 때문에 따로 알아내기 위한 작업이 필요없다.
※ 사용자가 변환된 IP주솟값을 얻기 위해선 네임서버로의 Query를 수행해야 하는데,
이 Query를 수행하기 위한 네임서버의 IP주소와 포트번호를 알아내는 방법들은 아래와 같다.
1. 액세스할 네임 서버의 주소를 수동으로 입력하는 방법 (수동입력)
2. 인터넷 유무선공유기를 통한 방법 (자동으로 할당받는 방법)
- 공유기가 켜질 때, 연결된 ISP서버로부터 해당 호스트가 사용할 IP주소와 네임서버의 IP주소를 받아온다.
- 네임 서버의 IP주소는 위와 같은 방법들로 알아내지만,
포트번호는 Well-Known Service를 통해 미리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따로 탐색할 필요가 없다.
(네임 서버 또한, 어떤 Machine내에서 구동중인 Process이므로, 네임 서버도 포트 번호를 갖는다.)
* Well-Known Service
- IANA 국제 표준에서 대다수가 자주 사용하는 웹 서비스의 포트번호를 미리 지정해놓음으로써,
자주 접근되는 웹 서비스의 포트 번호를 알아내기 위한 수고를 덜어준다.
- 따라서, 어떤 호스트에서 네임 서버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네임 서버의 IP주소만 알아내면 되는 것이다.
ex) http, https
- https를 이용한 서버와의 통신에서는 주고 받는 메세지들에 대한 암호화가 이루어져 있어서
보안이 한층 강화된 형태를 보인다. (s는 security를 의미한다.)
Reference: TCP/IP Protocol Suite 4th Edition
(Behrouz A. Forouzan 저, McGraw-Hill, 2010)
Reference: Data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5th Edition
(Behrouz A. Forouzan 저, McGraw-Hill,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