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리눅스다 Chapter 2. CentOS 리눅스 소개
2.1 리눅스의 개요
Linux의 전신인 Unix는 여러 회사에서 각자의 특성에 맞게 제작/판매되고 있다.
- IBM의 AIX
- HP의 HP-UX
- Oracle의 Solaris
- DEC의 Digital Unix
- SCO의 SCO Unix
- Linux는 무료 Unix로 표현할 수 있으며, 값비싼 Unix와 거의 동일한 기능과 역할을 하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OS이다.
- 어떤 면에서는 Linux가 Unix보다 뛰어난 기능을 발휘한다.
2.1.1 리눅스의 탄생
- Linux는 1991년 8월 Linus B. Torvalds가 어셈블리어로 Linux Kernel Ver. 0.01을 처음 작성한데서 시작되었다.
- 당시 리누스의 목표는 유닉스 시스템의 작은 버전인 Minix보다 좋은 OS를 설계하는 것이었다.
- 이후 1992년에 Ver. 0.02의 소스 코드를 인터넷에 공개하면서 본격적으로 리눅스가 세상에 선보여졌다.
- 리누스는 리눅스의 핵심 부분인 Kernel만 작성하여 배포하고, 배포된 Kernel에 여러 기업 혹은 리눅스 단체들이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Compiler, Shell, 기타 Application을 조합하여 배포한다.
※ Linux는 GNU Project하에 작성되었기 때문에 "GNU/Linux"가 올바른 표현이다.
2.1.2 GNU 프로젝트 (URL)
- 1984년 Richard Stallman에 의해 시작된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S/W'를 지향하는 프로젝트이다.
- Richard Stallman은 1985년에 FSF(Free Software Foundation) 재단을 설립하여 GNU 프로젝트에서 제작된 S/W를
지원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의 복제, 변경, 소스 코드의 사용에 걸린 제한을 철폐하고자 했다.
- 즉, GNU 프로젝트는 누구든지 S/W를 자유롭게 사용하도록 하는것을 지향했다.
- FSF에서 제공하는 S/W 대부분은 GPL(General Public License)를 따르도록 되어있다.
이는 Free S/W를 수정, 공유하는 데 있어 자유롤 보장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 GPL에서의 Free S/W 개념
- S/W 사용에 대한 자유
- S/W 수정에 대한 자유
- S/W 재배포에 대한 자유
- 수정된 S/W의 이익을 전체가 얻을 수 있도록 배포할 수 있는 자유
- 유상으로 S/W를 판매할 수 있는 자유
(대신, 자신이 판매하는 S/W 또한 자유 S/W로써 소스 코드를 공개해야 한다.)
2.1.3 커널
- Kernel에는 현재 제어하는 H/W장치의 지원 여부 정보, H/W 성능, H/W를 제어하는 코드들이 들어 있다.
- 리누스와 소수의 커널 개발자들이 개발한 최신 버전의 커널을 Linux Kerbel Archive(URL)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 리눅스 커널은 크게 Stable Version과 Developmental Version으로 나뉘어 배포된다.
1. Stable Version
- 이미 검증된 개발 완료 코드이다.
2. Development Version
- 현재 개발 중인 버전의 코드이다.
- 미리 추가된 기능을 접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ex) Linux 3.17.4 버전
Major Version(주 버전) = 3
Minor Version(부 버전) = 14
Patch Version(패치 버전) = 4
- 리눅스의 특징 중 하나로, 배포판에 포함된 기본 커널을 사용자가 직접 최신 커널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업그레이드 과정을 Kernel Upgrade, Kernel Compile이라 부른다.)
2.2 CentOS 리눅스 배포판
리눅스 배포판
- 여러 기업 혹은 리눅스 단체에서 리눅스 커널에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추가하여 쉽게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 Red Hat Enterprise Linux
- Gentoo
- Ubuntu Linux
- Debian
- Fedora
- Knoppix
- Linux Mint
- Mamdriva
- openSUSE
- Pardus
- 가장 유명한 리눅스 배포판 중 하나로 Red Hat사의 Red Hat Linux가 있는데,
이는 RHEL(Red Hat Enterprise Linux)라 부르기도 하며, 상용으로 판매되고 있다.
- Red Hat사에서는 2003년 3월에 레드햇 리눅스 9.0 버전을 마지막으로 무료 리눅스 배포를 중단했다.
- GPL License에 의거, Red Hat사의 상용 리눅스도 공개되어야 하고,
이 소스코드를 가져와서 재컴파일 한 것이 CentOS Linux(URL)이다.
- 유료로 제공되는 Red Hat Linux는 Red Hat사의 기술지원이 제공되며,
무료로 제공되는 CentOS Linux는 사용자가 자체적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 Red Hat사는 또한 Fedora Project도 재정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 Fedora는 RHEL의 베타 버전 개념으로, 미리 최신 기능을 테스트하는 용도로 제작되고 있다.
이것이 리눅스다 Chapter 2. CentOS 리눅스 소개
2.1 리눅스의 개요
Linux의 전신인 Unix는 여러 회사에서 각자의 특성에 맞게 제작/판매되고 있다.
- IBM의 AIX
- HP의 HP-UX
- Oracle의 Solaris
- DEC의 Digital Unix
- SCO의 SCO Unix
- Linux는 무료 Unix로 표현할 수 있으며, 값비싼 Unix와 거의 동일한 기능과 역할을 하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OS이다.
- 어떤 면에서는 Linux가 Unix보다 뛰어난 기능을 발휘한다.
2.1.1 리눅스의 탄생
- Linux는 1991년 8월 Linus B. Torvalds가 어셈블리어로 Linux Kernel Ver. 0.01을 처음 작성한데서 시작되었다.
- 당시 리누스의 목표는 유닉스 시스템의 작은 버전인 Minix보다 좋은 OS를 설계하는 것이었다.
- 이후 1992년에 Ver. 0.02의 소스 코드를 인터넷에 공개하면서 본격적으로 리눅스가 세상에 선보여졌다.
- 리누스는 리눅스의 핵심 부분인 Kernel만 작성하여 배포하고, 배포된 Kernel에 여러 기업 혹은 리눅스 단체들이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Compiler, Shell, 기타 Application을 조합하여 배포한다.
※ Linux는 GNU Project하에 작성되었기 때문에 "GNU/Linux"가 올바른 표현이다.
2.1.2 GNU 프로젝트 (URL)
- 1984년 Richard Stallman에 의해 시작된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S/W'를 지향하는 프로젝트이다.
- Richard Stallman은 1985년에 FSF(Free Software Foundation) 재단을 설립하여 GNU 프로젝트에서 제작된 S/W를
지원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의 복제, 변경, 소스 코드의 사용에 걸린 제한을 철폐하고자 했다.
- 즉, GNU 프로젝트는 누구든지 S/W를 자유롭게 사용하도록 하는것을 지향했다.
- FSF에서 제공하는 S/W 대부분은 GPL(General Public License)를 따르도록 되어있다.
이는 Free S/W를 수정, 공유하는 데 있어 자유롤 보장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 GPL에서의 Free S/W 개념
- S/W 사용에 대한 자유
- S/W 수정에 대한 자유
- S/W 재배포에 대한 자유
- 수정된 S/W의 이익을 전체가 얻을 수 있도록 배포할 수 있는 자유
- 유상으로 S/W를 판매할 수 있는 자유
(대신, 자신이 판매하는 S/W 또한 자유 S/W로써 소스 코드를 공개해야 한다.)
2.1.3 커널
- Kernel에는 현재 제어하는 H/W장치의 지원 여부 정보, H/W 성능, H/W를 제어하는 코드들이 들어 있다.
- 리누스와 소수의 커널 개발자들이 개발한 최신 버전의 커널을 Linux Kerbel Archive(URL)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 리눅스 커널은 크게 Stable Version과 Developmental Version으로 나뉘어 배포된다.
1. Stable Version
- 이미 검증된 개발 완료 코드이다.
2. Development Version
- 현재 개발 중인 버전의 코드이다.
- 미리 추가된 기능을 접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ex) Linux 3.17.4 버전
Major Version(주 버전) = 3
Minor Version(부 버전) = 14
Patch Version(패치 버전) = 4
- 리눅스의 특징 중 하나로, 배포판에 포함된 기본 커널을 사용자가 직접 최신 커널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업그레이드 과정을 Kernel Upgrade, Kernel Compile이라 부른다.)
2.2 CentOS 리눅스 배포판
리눅스 배포판
- 여러 기업 혹은 리눅스 단체에서 리눅스 커널에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추가하여 쉽게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 Red Hat Enterprise Linux
- Gentoo
- Ubuntu Linux
- Debian
- Fedora
- Knoppix
- Linux Mint
- Mamdriva
- openSUSE
- Pardus
- 가장 유명한 리눅스 배포판 중 하나로 Red Hat사의 Red Hat Linux가 있는데,
이는 RHEL(Red Hat Enterprise Linux)라 부르기도 하며, 상용으로 판매되고 있다.
- Red Hat사에서는 2003년 3월에 레드햇 리눅스 9.0 버전을 마지막으로 무료 리눅스 배포를 중단했다.
- GPL License에 의거, Red Hat사의 상용 리눅스도 공개되어야 하고,
이 소스코드를 가져와서 재컴파일 한 것이 CentOS Linux(URL)이다.
- 유료로 제공되는 Red Hat Linux는 Red Hat사의 기술지원이 제공되며,
무료로 제공되는 CentOS Linux는 사용자가 자체적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 Red Hat사는 또한 Fedora Project도 재정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 Fedora는 RHEL의 베타 버전 개념으로, 미리 최신 기능을 테스트하는 용도로 제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