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n Neumann Architecture
폰 노이만 구조
- CPU, 메모리, 프로그램 구조를 갖는 프로그램 내장방식* 의 현재 컴퓨터 구조의 토대를 확립시킨 이론이다.
- 폰 노이만이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할 당시 발표한 논문 <전자계산기의 이론 설계 서론>에서 폰 노이만 구조 아이디어를 처음 제시하고, 7년 후 케임브리지대학교의 의뢰로 세계 최초의 프로그램 내장 방식 컴퓨터 EDSAC을 제작한다.
- 이후에 개발된 컴퓨터는 모두 폰 노이만의 설계를 기본 구조로 하여 디자인되고 있다.
* 프로그램 내장방식 (Stored program):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장치에 저장하고 실행시키는 방식
- Binary code를 memory로 부터 하나씩 processor로 이동하여 처리하는 방식
Von Neumann Bottleneck (폰 노이만 병목현상)
- 자료경로의 병목현상 또는 기억장소의 지연 현상을 지칭하는 현상
- CPU와 기억장치 사이의 단 하나의 통로에 정보가 집중됨으로써 야기되는 작업 지연 현상
- 나열된 명령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고, 그 명령은 일정한 기억장소의 값을 변경하는 작업으로 구성되는 폰 노이만 구조에 기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