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미국, '리세션' 필요"·"우크라, 제2 한반도 가능성"
(2022.10.07)
Article (기사 원문) (URL)
미국 리세션 필요우크라 제2 한반도 가능성 한경 글로벌마켓 콘퍼런스 in 뉴욕
<앵커> 오늘은 미국 뉴욕에서 열린 한경 글로벌마켓 컨퍼런스에서 나온 거물들의 발언부터 좀 살펴볼까요. 투자 아이디어 뿐 아니라 시장 자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메시지들도 나왔다고요. <기
www.wowtv.co.kr
Background (배경지식)
CPI (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물가지수)
-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이다.
- 기준시점의 물가를 100으로 놓고 비교시점의 물가수준을 상대적인 크기로 표현한다.
-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CPI를 산출하는 방법으로 Laspeyres' Formula를 이용한다.
* Laspeyres' Formula
\(\LARGE P_L = {\sum\limits_i (P_i^t Q_i^0) \over \sum\limits_i (P_i^0 Q_i^0)} = \sum\limits_i S_i^0 ({P_i^t \over P_i^0})\)
\(\LARGE S_i^0 = {P_i^0 Q_i^0 \over \sum\limits (P_i^0 Q_i^0)}\)
Legend | Description |
가격 | |
수량 | |
가중치 | |
기준시점 | |
비교시점 | |
품목 |
Article Summary (기사 요약)
[미국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연준 인사들과 헤지펀드들의 상반된 시각]
- 전 보스턴 연은 총재 에릭 로젠그렌은 "지금 미국은 경기 침체가 필요하다."라 말했는데,
현재 6.2%에 달하는 인플레이션이 더 높아질 수 있다는 전망과 이를 잡기 위해선 고용 시장에 충격이 불가피하고,
실업률 5% 정도의 약한 경기 침체가 경제를 정상화하는데 필요하다 주장했다.
- 현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캐시캐리도 ""Fed의 금리 인상을 멈출 때까지는 꽤 긴 시간을 기다려야 할 것"이라 말했다.
- 반대로, 월가에서는 헤지펀드들을 중심으로 Fed가 금리 인상을 중단할 수 있다는 시각도 나오고 있다.
- 즉, 헤지펀드들이 제시한 'Fed Pivot론'에 전현직 연준 인사들은 회의적인 입장이다.
[세계 지정학적 요인]
- 현 칼라일 부회장, 전 미 해군 4성 제독 제임스 스타브리디스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가 전술핵을 사용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라 말했다.
-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일부를 점령하고 한반도와 같이 비무장지대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시각도 나왔다.
[세계 자산 시장 전망]
- 현 오크트리캐피털 회장 하워드 막스는 "지금은 채권 시장에 참여해야 한다."라 말했다.
(워런 버핏이 하워드 막스의 투자 레터를 가장 먼저 읽는다 했을 정도로, 하워드 막스는 투자 구루이다.)
- 현 뉴욕생명 윤제성 CIO도 채권 시장 진입을 긍정적으로 보고, 미국 주식 시장은 신저점을 찍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고,
에너지와 헬스케어가 돈을 잃지 않는 투자전략에서 좋은 선택지라 말했다.
- 펀드스트랫 창업자이자 강세론자인 톰 리는 "지금은 투자자에게 있어서 나쁜 데이터를 넘어,
리스크 보상을 보는 안목이 필요한 시기"라 말했고,
미국의 일부 상품 품목으로 인해 CPI가 기대보다 하락할 것이라 전망했다.
(미국 인플레이션의 절반 가량을 담당한 자동차 부문이
현장에서 실제 중고차 가격이 하락하는 데 비해 아직 CPI에는 반영이 되지 않은 것이 그 이유이다.)
- 밀레니엄 매니지먼트 마이클 정 부대표는 "지수가 그대로라 하더라도 시장 순환이 이루어진다면 투자 기회가 있는 것"이라
말하고, 전통산업 분야가 다시 떠오를 것이라 전망했다.
Reference: 신인규 기자; ""미국, '리세션' 필요"·"우크라, 제2 한반도 가능성""; 한국경제;
2022년 10월 7일 검색, 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