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안갯속 자산 시장, 2023년 레벨업 카드는
(2022.11.29)
Article (기사 원문) (URL)
[Special] 안갯속 자산 시장, 2023년 레벨업 카드는
[Special] 안갯속 자산 시장, 2023년 레벨업 카드는 , 이미경 기자, 자산관리
magazine.hankyung.com
Background (배경지식)
WM (Wealth Management; 자산관리업무)
- 고객 대신 주식 및 채권 등의 주문을 내고, 수수료를 수취하는 브로커리지(위탁매매) 업무나
펀드 및 ELS 등을 판매해 매출을 발생시키는 금융상품 판매 업무,
고액자산가의 세금과 상속 등에 관한 상담과 자산 배분 전략을 코칭해주는 자산관리 업무를 의미한다.
ELS (Equity-Linked Securities; 주가연계증권)
- 투자금의 대부분을 채권투자 등으로 원금보장이 가능하도록 설정한 후,
나머지 소액으로 주가지수나 개별종목에 투자하는 금융상품이다.
- 주가지수 옵션은 상승형과 하락형 등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옵션투자에는 실패하더라도 채권투자에서는 손실을 보전할 가능성이 있는 구조이다.
- 사전에 정한 2~3개 기초자산 가격이 만기 때까지 계약 시점보다 40~50% 가량 떨어지지 않으면,
약속된 수익을 지급하는 형식이 일반적이다.
Income Fund (인컴펀드)
- 채권, 리츠(부동산투자신탁), 고배당주 등에 투자해 일정 기간 마다 수익 또는 이자를 챙길 수 있는 펀드를 의미한다.
- 중위험·중수익 금융상품으로 분류된다.
Article Summary (기사 요약)
- 유동성 파티가 끝난 후, 자산가격의 하락으로 운용 전반에 실적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 내년부터 본격적인 실물경제 침체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오히려 불확실한 시장 상황이 지속되면서 자산관리에 대한 수요층이 더욱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 2022년 자산 시장의 주요 키워드는 아래와 같다:
- 개인고객 중심 WM 영업 확대
- 금융 환경이 악화되면서, 안정적으로 수익을 내는 인컴펀드나 확정금리형 상품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했다.
- PB들의 WM 영업력 확대에 초점이 맞춰질 전망이다.
- 초고자산가 시장 성장에 따른 프리미엄 서비스 경쟁
- 자산 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기를 걷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초고자산가 시장은 급팽창하며 호황기를 맞고 있는데,
이에 맞추어 금융회사들은 전담 센터나 조직을 새롭게 구성해 프리미엄 서비스 제공을 위해 힘쓰고 있다.
- 디지털 자산관리 시스템 재정비
- 증시·환율·세무·부동산·비금융 콘텐츠를 디지털 서비스로 제공한다.
- 내부에서는 관련 부서를 신설하여 디지털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고객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 개발에 적극 나선다.
- 초개인화 서비스 진화
- 개인별 자산 현황을 한눈에 파악하고 관리하는 것은 물론,
맞춤 정보와 자산 포트폴리오 구성까지 한눈에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진화했다.
- 영리치 증가에 따른 조직 정비
- 영리치와 CEO를 위한 특화된 서비스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 WM 대중화에 초점을 맞춘 디지털 자산관리
Reference: 이미경 기자; 안갯속 자산 시장, 2023년 레벨업 카드는; 한국경제;
2022년 12월 13일 검색, 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