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일본은행, 기준금리 0.25%로 인상(2024.07.31) Article (기사 원문) (URL) [속보] 일본은행, 기준금리 0.25%로 인상[속보] 일본은행, 기준금리 0.25%로 인상, 김일규 기자, 국제www.hankyung.com Background (배경지식) 일본은행 제로 금리 정책- 1999년 일본의 거품 경제가 붕괴된 이후, 일본은행이 오랜 기간동안 펼친 초저금리 정책이다.- 1999년 2월 12일 일본은행은 콜금리를 0.25%에서 0.15%전후로 인하한 데 이어 3월 콜시장에 대규모 자금을 공급하여 금리를 0.02%까지 떨어뜨려 단기금리를 사실상 0%에 가깝게 유도했다. - 일본은행의 이같은 초저금리 정책의 목표는 아래와 같다: 내수자극을 통한 경기회복엔화 강세 저지기업의..
Covered Call 보증된 콜 전략 - 기초자산의 가격이 크게 변동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현물을 보유하는 동시에 현재 시세보다 약간 높은 행사가격의 콜옵션을 매도하여 손실을 제한하는 옵션 거래 전략이다.- 주가가 크게 변동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Protective Put 전략을 실행하기 위해 풋옵션 프리미엄을 지출할 필요가 없으므로, 풋옵션 매수 대신 콜옵션 매도를 통해 프리미엄을 수취하여 손실을 제한한다. 현물 주가 상승 시- 콜옵션 매도에 따른 손해 + 주가 상승분 현물 주가 하락 시- 주가 하락분 + 콜옵션 매도 프리미엄 수익- 즉, 주가가 하락하여도 풋옵션 매도에 따른 프리미엄 수익으로 일정부분 상계할 수 있다. Reference: 한국거래소 파생상품시장본부..
Protective Put (Married Put) 보호적 풋(방어적 풋) 전략 - 주가에 대한 상승장이 예상되지만, 하락폭도 클 것으로 예상될 경우, 보유한 현물주식 자산에 연동하는 주가지수 풋옵션을 매수하여 가격 상승 시의 수익 가능성을 유지하며 가격 하락 시의 손실을 일정 수준으로 제한하는 옵션 거래 전략이다.- 기초자산의 위험을 풋옵션 매수를 통해 보호하여 '보호적 풋'이라 명명되었다.- 보호적 풋 전략은 헤지효과와 함꼐 가격상승 시 현물에서 발생하는 이익을 무한히 유지할 수 있다. 현물 주가 상승 시- 주가 상승분 - 풋옵션 매수시 지급한 프리미엄- 즉, 시세가 풋옵션 매수 프리미엄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으면 이익은 없게된다. 현물 주가 하락 시- 주가 하락분 + 풋옵션 행사 이익- 즉,..
한국경제미리 준비하는 리츠 투자…금리 하락 사이클에 주목(2024.06.03) Article (기사 원문) (URL) 미리 준비하는 리츠 투자…금리 하락 사이클에 주목미리 준비하는 리츠 투자…금리 하락 사이클에 주목, 이현주 기자, 마켓magazine.hankyung.com Background (배경지식) REITs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리츠)-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조달하여 부동산 및 부동산 관련 지분에 투자해 발생한 수익을 투자자에게 배당하는 투동산투자신탁을 의미한다.- 부동산이라는 실물자산에 투자하기 때문에 가격이 비교적 안정적이다.- 리츠는 매년 배당가능이익의 90% 이상을 의무적으로 배당하며, 그 수익 또한 부동산 임대료로 발생하기 때문에 꾸준한 배당이 가..
Volatility Interruption(VI) 종목별 변동성 완화장치 - 장중 개별종목 주가가 가격제한폭으로 변동할 때까지 순간적인 가격급변을 완화할 수 있는 장치이다.- 주문실수, 수급 불균형 등에 의한 일시적 주가급변에 단기간의 냉각기간(2분간의 단일가매매)을 부여하여 가격 급변을 완화한다.- VI는 대부분의 해외거래소가 채택하고 있는 개별종목에 대한 가격안정화 장치이다. Target (VI의 적용대상) 유가증권시장에서의 VI 적용대상:주권DR (Depository Receipts; 주식예탁증서)ETFETN* 신규상장 주권, DR의 상장일 당일은 VI 미적용 코스닥시장에서의 VI 적용대상주권DR (Depository Receipts; 주식예탁증서)* 코넥스 -> 코스닥 이전상장종목의 이전상..
Sidecar System 프로그램매매호가 일시 효력정지제도 - 시장상황이 급변할 경우, 프로그램매매의 호가효력을 일시적으로 제한함으로써 프로그램매매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고자 하는 제도이다.- 특히, 선물시장이 급변할 경우 현물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현물시장의 안정적 운용을 꾀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Trigger (사이드카의 발동조건) 유가증권시장기준종목의 가격이 기준가 대비 5%이상 상승하여 1분간 지속되는 경우,프로그램매수의 호가효력이 5분간 정지되거나 정지가 예고될 수 있다.기준종목의 가격이 기준가 대비 5%이상 하락하여 1분간 지속되는 경우,프로그램매도의 호가효력이 5분간 정지되거나 정지가 예고될 수 있다.사이드카는 당일 최대 1회만 발동된다.프로그램매매호가의 효력정..
Circuit Breakers (CB) System 매매거래 중단제도 - 증권시장의 내∙외적 요인에 의해 주가가 급락하는 경우, 투자자들에게 냉정한 투자판단을 위한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시장에서의 모든 매매거래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제도이다.- 한국거래소의 경우, 가격제한폭을 1998년 12월 종전 상하 12%에서 상하 15%로 확대하면서 손실을 입을 위험이 커진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 도입하였다.- 코스닥시장에는 2001년 10월에 도입되었다. Trigger (매매거래중단의 발동조건) - KOSPI가 직전거래일의 종가보다 일정 기준치 이상 하락한 경우, 매매거래 중단의 발동을 예고할 수 있으며 이 상태가 1분간 지속되는 경우 주식시장의 모든 종목의 매매거래를 중단하게 된다.- 각 단계별 발..
Liquidity Provider(LP) System 유동성 공급자 제도 - 유동성이 일정 수준에 미달하는 매매거래 비활발종목에 대하여 유동성 공급자가 지속적으로 매도∙매수호가를 제시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가격 형성을 유도하기 위한 제도이다. - 매매거래가 활발하지 않은 소외종목은 주가가 비이상적으로 급락해 투자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어 도입된 제도이다. Qualification (유동성 공급자의 자격요건) - 자기매매업의 허가를 받은 한국거래소의 결제회원으로, 내부적으로 유동성 공급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을 지정해야 한다.- 유동성 공급에 대한 분기별 평가결과가 3회연속 최하위 등급을 받은 경우, 1년이 경과하여야 한다. Obligation (유동성 공급자의 의무) - 호가스프레드가 3%이내에서 상..